
단순 암기가 잘 되는 애들이 있다. 단어 시험에서 어려움이 없어서 참 좋다. 외우는게 안되는 아이는 이해라도 해서 단어를 외워보자는 취지로 블로그를 써본다.appropriate 뜻은 적절한이다.Your clothes are not appropriate.너의 옷은 적절하지 않다.proper 이라는 단어도 적절한인데 무슨 차이가 있을까prop까지는 똑같지만 어원은 다르다.둘 모두 쓸 수 있을때도 있지만appropriate은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적절하게 사용proper는 특정한 규칙이나 관례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다.appropriate clothing 상황에 맞는 적절한 옷proper etiquette(에티켓) 적절한 예절 규칙I use appropriate language during the pr..

아들이 단어시험에서 광고를 commercial로 써야하는데 이미 알고 있는 advertisement를 써서 틀려왔다. advertisement도 광고가 맞다지만 새 단어를 외웠는지 확인하는게 시험이니까그래서 두 단어 차이점을 찾아봤다.advertisement 모든 광고 전반commercial 주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 송출되는 광고그러나 commercial은 광고보다는상업적인, 상업용으로 더 많이 쓰인다광고는 상업적으로 쓰이니까 광고라는 뜻이 된듯커머셜이라는 용어로 한글에서도 많이 보인다.어원을 따져보면commerce가 상업이다.cial은 관련된, 특성을 가진이라는 접미사다cial 이 들어간 단어들을 보면official 공식적인 social 사회적인 special 특별한commerce가 들어간 단어로E..

우리집 아이들은 사람이 나오는 역사 프로그램을 좋아했다. 한동안 “달리고 달리고 달리고, 달리고 달리고 달리고” 노래를 불렀던 것은 시간을 달리는 세계사 때문. 내가 봐도 너무 재밌고 유익했다. 세계사를 알기 쉽게 알려줘서 입문하기에 너무 좋았다. 다만 시간순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좀 아쉽긴 했는데, 너무 시간순이면 지겨웠을라나? 내용을 달달외우진 못해도 그냥 이런 일이 있었구나, 또는 역사를 재밌게 생각할 수 있게된 것만으로 만족스러워서 다음편을 계속 기대했다. 그러나 몇 회만 나오고 종영되었다. 앞으로 남은 세계사 내용이 무궁무진할텐데 너무 아쉬었다. 한참을 기다려도 나오지 않아 다른 프로그램을 찾던 중 한국사 프로그램 역사 놀이패 아리아리와 역사가 술술을 보게 됐다. 역사놀이패를 먼저 봤는데 이번에..

6개월 전, 단어 암기 앱을 처음 알았다 유투브 광고를 봤는데 문장에 알맞은 네모를 적는 문제였다. 이것도 맞지만 이럴 때 더 많이 쓰이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영어 단어를 무작정 외우는게 안 좋다 생각하던 차에 상황별로 알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앱을 시작하게되었다. 맞아, 처음 시작은 이랬지. 지금은? 말해보카를 사용하면서 정말 엄청난 속도로 무작정 외운다. 빨리 빨리 풀어야 점수를 따고 리그에서 승급할 수 있으니까. 여러 단어를 상황별로 비교하고 가장 적당한 단어를 찾는데 쓸 시간이 없다. 단점이지만 장점이기도 한 말해보카의 매력. 빠른 시간에 단어는 확실히 외어진다. 그땐 왜 무작정 외우는 게 안 좋다 생각했을까? 단어만 모아서 외었을 경우, 외운 단어의 뜻이 예문에서 똑같이 사용되지 않았다. ..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영어 만화나 DVD를 보면 좋았을까? 생각해보면 그때도 그 나이에 맞는 영어 만화는 재미없어했던 것 같다. 초등학생이 되니 더더욱 영어 수준에 맞는 쉬운 영어 만화는 재미가 없고 재밌어보이는 영어 만화는 수준이 높아서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금방 흥미를 잃고 지속해서 보기 힘들었다. 여기저기서 추천하는 영어 만화들을 보여줬지만 대다수는 거부 당하다가 아주 좋아하는 만화를 두개 찾았다. PJ Masks 와 Octonauts, 한글로는 파자마 삼총사, 옥토넛이다. PJ Masks의 주인공은 유치원생들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우리애들은 본인들과 같은 초등학생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같은 또래 친구라고 생각하는지 더 재밌어했다. 내가 봐도 유치원생치고는 말도 잘하고 내용도 유치하지 않다..

답이 10을 넘지 않는 연산은 손가락으로 수를 세면 된다. 3+4=7 손가락으로 계속 세다가 자주 나오면 답이 외어진다. 이렇게 10이하의 연산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답이 10을 넘어가게 되면 손가락 10개만으로는 안된다. 손가락을 두번 접어서 하거나 발가락까지 이용할 수도 있고 머리 속에서 손가락이 나온다며 암산하는 아이도 있다. 나름대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대게는 이렇게 수를 세다가 암기가 되서 쉽게 답을 낸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암기하는 아이들은 연산에 크게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연산의 첫번째 방법은 누구나 아는 하나씩 수를 세고 암기하는 방법이다. 7+5=12 6+8=14 4+7=11 그런데 연산이 힘든 아이들이 있다. 우리 아이를 포함해서 연산이 힘든 아이들을 보면 수학 머리가 없다..
- Total
- Today
- Yesterday